Lighthouse 기능으로 내 블로그의 SEO (검색엔진최적화) 점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크롬 개발자 도구 한국어로 변경
Lighthouse는 크롬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웹 페이지의 품질, SEO 점수를 확인하는 기능입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전에, 결과를 더 쉽게 보기위해 언어 설정을 한글로 변경하는 게 좋습니다.
단축키 F12 또는, 우측 상단 도구 더 보기 → 개발자 도구를 통해 개발자 도구를 호출합니다.
이후, 설정에서 언어를 한국어로 변경합니다.
언어 변경은 개발자 도구를 한 번 껐다 켜야 적용됩니다.
Lighthouse 사용법
언어 설정이 끝났다면, SEO 점수를 테스트하고 싶은 글에서, 개발자 도구의 Lighthouse 탭에 진입합니다.
기본 설정에서 모드, 카테고리는 일단 건드실 필요 없고, 기기 설정에서 모바일, 데스크톱 점수를 각각 한 번씩 측정하시면 됩니다. 저는 먼저 데스크톱에서 해당 페이지를 불러올 때의 점수를 측정해 보겠습니다.
기기에서 데스크톱으로 설정한 뒤, 우측 끝에 페이지 로드 분석을 클릭합니다.
잠시 기다리면, 현재 페이지의 성능, 접근성, 권장사항, 검색엔진최적화(SEO)의 정량적 점수가 측정된 보고서가 나옵니다.
각각 요소는 다음과 같이 이해하시면 됩니다.
- 성능 : 페이지의 로딩 속도
- 접근성 : 다양한 사용자들이 해당 페이지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
- 권장사항 : 보안, 구글의 정책, 그 밖에 기술적 권장사항을 얼마나 따르는지 여부
- 검색엔진최적화 (SEO) : 기본적인 검색엔진 최적화 권고를 지키는가 여부
마지막 항목이 SEO 점수를 직접적으로 측정하긴 하나, 성능, 접근성, 권장사항 모두 페이지 노출 순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기 때문에, 4가지 항목 모두 점수가 높아야 합니다.
스크롤링을 내려 각 항목을 상세히 살펴보면, 점수에 영향을 준 상세 요소와 구글에서 제시하는 개선 방향성 및 자료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저는 접근성 항목에서 글에서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 색상의 대비율이 충분하지 않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근거와 개선 방법에 관한 자료의 링크를 같이 제시해 주네요.
검색엔진 최적화(SEO) 항목에선 100점을 받았습니다.
이 부분은 구조화를 중요시한 블로그 목표대로 잘 구현된 것 같아 기분이 좋네요.
유의 사항 및 SEO 점수 개선 방법
- Lighthouse는 페이지의 모든 요소에 대해 점수를 정확하게 측정하진 못합니다.
예를 들어, 자바스크립트 기반으로 추가 상호작용이 일어나야 작동되는 기능에 경우엔 이를 측정하지 못해, 측정 점수는 높으나 실제 사용자나 구글 봇에게는 느리다고 판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접 페이지를 사용해 보거나, 다른 웹사이트 품질 측정 툴을 같이 사용하면 좀 더 정확한 품질 점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저희는 직접 웹사이트를 만드는 게 아닌, 기본적으로 SEO 규칙을 준수하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Lighthouse 기능 정도만 사용해도 충분하다고 판단해, 추가적인 정보는 싣지 않았습니다.
* 더 알아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 구글 공식 웹사이트 페이지 성능 관련 아티클
속도 도구에 관한 생각 | Articles | web.dev
속도 도구에 관한 생각
web.dev
- 데스크톱과 모바일 호환성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플랫폼 차이에 따라, 점수 차이가 꽤 유의미하게 납니다. 따라서 점수 측정도 플랫폼 별로 꼭 두 번 시행하시는 게 좋습니다. - 점수 개선은 대체로 스킨, 플러그인 편집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낮게 측정된 요소의 개선 사항에 따라 스킨의 Html 태그를 고치거나, 플러그인 미사용 등을 통해 점수를 향상할 수 있습니다.
검색 페이지 상위 순위에 있는 티스토리 블로그들을 봤을 때,
최소 주황 등급(50~89점)에서 초록 등급 (90~100점) 은 기본적으로 다들 유지하고 계셨습니다.
따라서 해당 방법을 통해, 웹사이트 품질은 기본적으로 주황 등급은 갖춘 뒤, 검색 키워드 전략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 글도 읽어보세요!]
티스토리 글 쓰는 법 (구글 SEO 기반 글쓰기)
앞서 블로그 세팅을 완료했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구글 SEO에 기반해서 글 작성을 해보겠습니다.서식 기능을 활용하고, SEO 기반으로 글 구조를 짠 뒤, 직접 글을 발행해 보는 것까지 해보겠습니
infomationpyramid.tistory.com